본문 바로가기
정보

2015년과 2025년 가장 많이 오른 것 5가지!

by 뉴발뉴발런치 2025. 6. 9.
반응형

2015년과 2025년 가장 많이 오른 것 5가지!

이젠 숫자가 너무 다르다…

10년 사이에 참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. 특히 **‘가격’**은 실감이 날 정도로 크게 변했죠. 오늘은 2015년과 2025년 사이, 일반 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금액 변동이 큰 5가지를 정리해봅니다.


1. 🏠 아파트 가격

  • 2015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: 약 5억 원
  • 2025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: 약 12억 원
  • 변동률: +140% 이상

특히 강남, 서초, 용산, 마포 등 인기 지역은 10년 새 2~3배 이상 폭등했습니다.
중저가 지역조차 수도권 광역급행철도(GTX) 영향 등으로 급격히 상승했죠.


2. ☕ 카페 커피 가격

  • 2015년 아메리카노 평균가: 3,000원
  • 2025년 프랜차이즈 평균가: 5,500원
  • 변동률: +83%

임대료, 인건비, 원두 수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커피 한 잔 가격도 부담이 커졌습니다.
이젠 **아메리카노 한 잔이 ‘한 끼 값’**이 된 시대입니다.


3. 🥚 계란 한 판 (30구)

  • 2015년 평균 소비자 가격: 4,000원
  • 2025년 기준 가격: 7,000~9,000원
  • 변동률: +75~125%

AI(조류독감), 곡물값 상승, 사료 가격 인상 등의 영향을 받으며
계란은 대표적인 물가 체감 품목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


4. 🏡 전세 보증금

  • 2015년 서울 전세 중위값: 2억 5,000만 원
  • 2025년 서울 전세 중위값: 5억~6억 원
  • 변동률: +100% 이상

전세 매물이 줄어들고 월세화가 진행되며, 전세금 자체가 희소 자산이 됐습니다.
대출 없인 감당 어려운 금액으로 바뀌었죠.


5. 📚 사교육비 (초중고 기준)

  • 2015년 월평균 사교육비: 약 24만 원
  • 2025년 월평균 사교육비: 약 45만 원
  • 변동률: +87.5%

영어, 수학, 코딩, AI 관련 학원까지 다양해지며 사교육비도 급증했습니다.
**'학원비로 월급이 다 나간다'**는 말이 더 이상 과장이 아니죠.


✍️ 마무리

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더니, 우리 지갑 사정도 정말 많이 달라졌습니다.
앞으로 다가올 2035년엔 또 어떤 가격이 바뀌어 있을까요?
지금의 소비와 투자, 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입니다.

반응형